안전하고 질서있는 이주를 통해 난민들이 존엄성을 잃지 않고 존중을 받으며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하는 것은 60년이 넘게 바뀌지 않은 IOM의 근본적인 우선순위와 목표입니다. 전 세계에 걸친 이주 관리를 통해 사회에 기여해온 IOM은 포괄적인 재정착 서비스로 난민들의 정착국 내 통합을 돕고 있습니다. IOM 헌장 제1호는 “…난민 수용국을 포함한 관련국과 본 기구 사이의 협의로 인해 국제이주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난민과 이재민 또는 기타 개인들의 체계적인 이동을 담당한다.” 라고 명시하여 IOM에 관련 권한을 위임하고 있습니다. 재정착(Resettlement)은 계속된 박해로 인한 두려움으로 출신국으로 돌아갈 수 없고 망명국에 머무를 수도 없는 난민들을 위한 훌륭한 영구적 해결책 중 하나이며 국제적 단결과 부담 분담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발생한 유럽 이재민들의 재정착을 돕기 위해 1951년 설립된 이후 IOM은 60년이 넘게 난민 재정착 활동 지원을 위한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최근 10년 동안만 전 세계 186개 지역에서 발생한 892,243명 난민의 재정착을 도왔습니다.

1

대표적 지원 사례

  • 2009 - Iraq 
  • 2007 - Bhutan
  • 2005 - Myanmar
  • 2000 - Balkan
  • 1993 - Somalia
  • 1979 - Afghanistan
  • 1975 - IndoChina
  • 1973 - Chile
  • 1968 - Czechoslovakia
  • 1956 - Hungary

IOM의 활동은 정부, 유엔난민기구(UNHCR), 비정부기구, 그리고 다른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UNHCR 은 난민 사례를 식별하고 면담을 하고, 난민 사례를 재정착 고려국들에 제출합니다. 그 이후 IOM의 재정착 서비스가 시작되어 위의 고려국들과의 협력협정 아래 사례 진행, 건강 검진, 출국 전 교육과 이동이 이뤄집니다. 재정착 국가들은 난민들의 입국과 동시에 그들에게 자국민의 권리와 유사한 기본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권리를 포함하는 법적, 신체적 보호를 제공합니다. 난민들은 최종적으로 재정착국의 시민권자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난민 재정착 과정

Chart

IOM의 재정착 프로그램

1호주 : Australian Cultural Orientation
2노르웨이 : Norwegian Cultural Orientation Programme: Fostering Integration of Resettled Refugees in Local Communities
3덴마크 : Assisting Quota Refugees for Resettlement to Denmark
4영국 : UK Cultural Orientation and English Language Training: Giving refugees a head start on life in the UK
5미국 : United States Cultural Orientation in Nepal: Preparing Refugees for a New Life in the USA
6캐나다 : Canadian Orientation Abroad
7독일 : Cultural Orientation Germany
8일본 : Cultural Orientation for Japan bound Refugees